자동차 관련 정보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 의무 잘 지키고 계시나요?

믿쓰리 2022. 7. 6. 16:25
반응형

안녕하세요 믿고 쓰는 리스 믿쓰리입니다!

 

자동차를 탈 때 안전을 위해 꼭 착용해야 하는 안전벨트!

2018년 9월 28일부터 전 좌석 안전벨트 의무화가 시행되어

어느덧 4년이 다 되어가고 있지만

문제는 뒷좌석에서는 착용을 잘하지 않는다는 것인데요.

 

오늘은 뒷좌석 안전벨트 의무화에 대한 내용과

이를 위반했을 때는 어떻게 되는지

믿쓰리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까요?

 

 

뒷좌석 안전벨트 의무화

기족 뒷좌석 안전벨트의 경우 고속도로에서만 안전벨트를 착용해도 되었지만

2018년 9월 28일부터 뒷좌석 또한 모든 도로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한다는 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제50조 (특정 운전자의 준수 사항)

①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에는 좌석 안전띠를 매어야 하며,

모든 좌석의 동승자에게도 좌석 안전띠(영유아인 경우에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장착한 후의

좌석 안전띠를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160조 제2항 제2호에서 같다)를 매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질병 등으로 인하여 좌석 안전띠를 매는 것이 곤란하거나

행정 안전 부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하지만, 여전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분들이 많은데요.

교통안전공단의 '2021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안전벨트 착용률은 84.85%로 전년 대비(84.83%) 소폭 상승했으나,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시행에도 불구하고 뒷좌석 착용률은 32.43%로

전년 대비(37.20%) 4.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카시트 의무화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만 6세 미만 영유아의 경우 유아용 보호장구 착용이 의무화되어

카시트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몸이 작아 안전벨트가 헐겁거나 바닥이 발이 닿지 않아

사고 시 몸을 지탱해 줄 힘이 없기 때문에

다리가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무조건 카시트에 타야 합니다.

 

이때 카시트는 뒷좌석에 설치해야 하는데요.

앞 좌석에 카시트를 설치할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시 에어백 작동 등으로 인해

어린이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뒷좌석에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안전벨트 교체주기

안전벨트도 교체주기가 있습니다!

사고 없이 사용했다면 4~5년마다 점검 후 교체해 주는 것이 좋으며

사고 경험치 있는 벨트의 경우 충격 흡수 기능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벨트 버클이 '찰칵'하는 소리를 내며 잠기지 않고,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안전을 위해 점검을 해주셔야 합니다.

 

 

 

전 좌석 안전띠 / 카시트
착용 의무 위반 시 과태료

안전벨트 미착용 시 3만 원, 6세 미만 영유아 카시트 미착용 시 6만 원

13세 미만 어린이 안전벨트 미착용 시 6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이는 개인용 차량뿐만 아니라, 버스와 택시에서도 의무로 착용해야 하며

안전벨트가 설치되지 않은 시내버스만 단속에서 제외되고 있습니다.

 

택시의 경우 과태료가 운전기사에게 부과되며,

이는 기사가 승객에게 안전벨트 착용을 권유하지 않은 경우에만 적용이 됩니다.

만약 기사가 벨트 착용을 권유했지만 승객이 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에게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임산부의 경우 단속 적용 대상이 아니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적당히 조절하여 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법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인 만큼 제대로 매는 것 또한 중요한데요.

우선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는 엉덩이를 시트 가장 안쪽에 밀착시켜 주어야 합니다.

이후 어깨 벨트는 어깨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허리 벨트는 골반을 지나도록 착용해 주어야 하는데요.

띠를 겨드랑이 아래로 매면 사고 시 갈비뼈가 다치거나 관성에 의해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으니 꼭 올바르게 착용해 주셔야 하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어깨띠를 가슴과 가슴 사이를 지나게 하고

허리는 배의 가장 아랫부분과 허벅지 사이에 착용해 주면 됩니다.

 

만약 띠가 꼬인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꼬여있는 부분에 심각한 상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후에는 꼭 띠가 꼬이지 않았는지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안전벨트는 도로 위의 생명줄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모두의 안전을 위해 차량 탑승 시 가장 먼저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습관을

가지시길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칩니다!

 

 

 

🔻🔻🔻믿쓰리 가입하고 중고차 정보 보기🔻🔻🔻

 

믿쓰리:리스/ 중고승계/장기렌트/국산... : 네이버 카페

중고차승계/수입차중고승계/국산차중고승계/BMW중고승계/중고승계/법인리스/개인리스/중고차리스/중고렌트

cafe.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