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련 정보

음주운전 동승자도 처벌 받는다!

믿쓰리 2022. 3. 14. 08: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믿고 쓰는 리스 믿쓰리입니다!

믿하💙


면허를 취득할 때에는 보행자 신호와 정지선, 차선 등을 지키는 교육을 받게 되는데요!

면허를 딴 후 운전을 하게 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속도위반을 하거나 규정을 어기는 행위를 할 때가 있습니다!


신호위반이나 속도위반 등을 자주 할 경우 면허가 40일간 정지될 수 있으며,

출퇴근을 운전으로 하고 있던 분들이라면 실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기 때문에

벌점을 잘 관리하는 것도 베스트 드라이버가 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호위반이나 속도위반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행위에 속하지만 간혹 술을 마신 후 운전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ㅜㅜ

한 잔만 먹었다고 하더라도 운전대는 절대로 잡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가까운 거리라면 운전이 아니라 도보로 집을 간 후 해장을 한 후에
술이 깼을 때 자동차를 가지러 가는 것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오늘은 술을 마시고 운전했을 때 음주운전 동승자가 처벌을 받게 되는지 알아보고,

어떤 기준으로 처벌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술을 먹고 시동을 걸었다면?


술을 먹고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켜고 주행을 할 경우,

이를'음주운전'으로 보고 있으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도로 교통법 위반으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도착했더라도 처벌을 받을 수 있는 행위에 속합니다!


술을 마신 후 자동차를 운행할 경우 도로교통법 제44조 제1항에 따라
'누구든지 술에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을 해야 하며,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행위는 해서는 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해서 핸들을 잡았을 때에는 운전자가 술에 취한 상태여서는 안 되며,

경찰 공무원이 보았을 때 취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운전자라면 호흡 조사로 음주 수치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려 줍니다!

운전자가 측정 결과에 불복하는 경우 동의를 받아 혈액을 채취해 다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처벌을 받아요!


술을 먹은 후 주행을 할 때에는 호흡 조사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0.05%로 수치가 나올 경우 음주 운전으로 분류됩니다!

도로교통법 제44조 제1항에 따라 운전이 금지되는 혈중 알코올 농도는 0.03% 이상일 때로 적용하고 있으며,

면허 정지 기준은 0.03% ~ 0.05%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면허 취소 기준은 0.10%에서 0.08 이상으로 기준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술을 먹고 운전을 해서는 안 됩니다!


매년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음주 운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 있으며,

2019년 6월 25일부터 음주운전이 2회 이상 적발될 경우
징역 2~5년 혹은 벌금 1천만 원부터 2천만 원 이상의 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술을 먹었을 때에는 절대로 핸들을 만져서는 안 됩니다!


만취를 알고도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처벌받아요!!


음주운전 동승자의 경우 만취 사실을 알고도 자동차에 함께 탈 경우 이를 '음주운전 방조죄'로 처벌하고 있습니다~

방조죄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4가지 요건에 성립해야 합니다!


1) 술을 마시고 운전을 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차 키를 제공한 사람

2) 음주 운전을 권유하거나 독려하는 행위를 한 사람

3) 술을 먹고 핸들을 잡은 사실을 알고 있는데도 말리지 않은 사람

4) 대리운전사를 잡기 어려운 지역에서 술을 판매한 업주


위와 같은 조건에 부합하는 분들이라면 음주운전 방조죄로 처벌받을 수 있으며,

정도에 따라 다른 형량의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음주운전 동승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으며,

자신 또한 크게 다치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술을 먹었다면 절대로 절대로 자동차 근처에 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술 약속이 있는 날에는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가지고 오게 되었다면 꼭 대리운전사를 부르셔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