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믿고 쓰는 리스 믿쓰리입니다~!
오늘은 차량 계기판에 표시되는
경고등에 의미에 대해 알아볼까요?
초보 운전이나 자동차에 대해 미숙하신
분들은 경고등이 뜨면 이게 어떤
의미의 경고등인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몰라서 당황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오늘은 가장 많이 점등되는 경고등에
대해 알아보고 경고등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려고 해요!
경고등 구분법에 대해 먼저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경고등과 표시등은 4가지
색상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첫 번째로 상태 주의 표시등입니다.

파란색으로 점등되는 주의 표시등입니다 이
표시등은 장치 작동을 나타내지만 다른
차량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니 주의
하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예로는 상향등 점등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상태 표시등이 있습니다.

초록색으로 점등이 되고 방향지시등 작동과
헤드라이트 점등, 오토홀드, 차선유지 보조 등에 대한
기능 작동 시 표시등이 점등됩니다.
세 번째 주의 표시등입니다.

노랜 색 경고등은 지금 차량의 상태로
주행은 가능하지만 해당되는 부분에 이상이
발생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빠른
시일 내에 센터에 방문하여 점검이 필요한
상태를 나타내는 경고등입니다.
마지막으로 경고등입니다.

빨간색 경고등이 점등되었다면 지금 차량의
상태는 운행하기에 위험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긴급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 및 수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겨울이 코앞인 만큼 겨울에 자주
뜨는 경고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PMS 경고등

TPMS 란 타이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뜻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되는 경고등인데요
겨울이 되면 기온이 낮아져 타이어 압력이
수축하는 과장에서 공기압이 떨어지게
되어 타이어와 지면의 접촉이 넓어지면서 연비도
떨어지고 타이어 마모도 빨라질 수 있습니다.
다른 이유에서 경고등이 뜰 수
있으니 경고등이 뜬다면 점검은 필수입니다.
배터리 충전 경고등

오래 운전을 하다 보면 제일 많이 보게 되는
경고등인데요 특히 추운 겨울에
자주 점등되는 표시등으로 배터리 충전에
문제가 생겼을 때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경고등이 점등된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게 된다면
방전되어 주행이 멈추기 때문에 빠르게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냉각수 수온 경고등

냉각수는 엔진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냉각수의 온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냉각수가 얼게 된다면 점등될 수 있습니다.
냉각수가 얼게 된다면 엔진의 열을 식혀줄 수
없기 때문에 냉각수 경고등이 점등
됐다면 곧바로 주행을 멈춘 후 시동을 끄고 바로
냉각수 점검을 해줘야 합니다. 냉각수가 얼지
않게 방지하기 위해 겨울철에는
부동액과 냉각수를 1:1로 섞어 사용합니다.

믿쓰리와 함께 차량 계기판 경고등의
의미와 겨울철에 자주 점등되는
경고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가오는
겨울철 대비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모두들 안전운전하세요~
'자동차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가죽시트의 종류와 올바른 클리너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1) | 2022.11.15 |
---|---|
이름으로 알아보는 오픈카의 종류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1) | 2022.11.11 |
초보운전자가 알아야 하는 교통사고 대처법! (0) | 2022.11.09 |
주유 시 시동을 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까요? (1) | 2022.11.07 |
2023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싼타페 풀체인지 예상도는?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