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믿고쓰는리스 믿쓰리입니다! 운전면허증을 딴지 얼마 안 된 초보운전자들은 헷갈릴 법한 정보를 가져왔는데요!
베테랑들도 가장 많이 하는 실수하고 합니다 특히, 요즘에는 셀프주유소가 증가하면서 더 많은 실수를 한다고 합니다
혹은 알고 있지만 잠깐의 수고로움을 덜기 위해 이런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ㅜㅜ
주유할 때는 안전을 위해서도 환경을 위해서 시동을 꼭! 끄고 주유를 해야 합니다!
주유소 화재
주유 시에 시동을 규제하는 가장 직접적이고도 큰 이유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유소는 장소의 특성상 몹시 화재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사방이 기름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작은 불씨 하나에도 엄청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엔진이 켜진 상태에서 발생한 정전기 또는 스파크가 유증기와 반응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건조한 겨울에는 정전기로 인해 보이지 않는 불꽃이 발생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험물 안전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8]
자동차 등에 인화점 40 ºC 미만의 위험물을 주유할 때에는 자동차 등의 원동기를 정지시킬 것
가솔린 인화점이 -43 ºC 이므로 법에 의하면 가솔린 차량은 주유 중 반드시 시동을 꺼야 하며, 어긴다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는 주유소 업체에 부과되는 과태료이며 1회에 50만 원, 2회 100만 원 3회 2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혼유 사고
화재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혼유 사고 방지를 위해서도 주유 전에 반드시 시동을 끄는 것이 좋습니다
혼유 사고란 차량에 맞는 연료가 아닌 다른 연료를 주입하게 되는 사고를 일컫는데 주유소에는 휘발유, 경유 등 다양한 기름이 산재되어 있어
종종 혼유 사고가 발생하곤 합니다 셀프 주유소가 확산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휘발유 차량의 경우 주유 구멍이 작기 때문에 혼유 사고의 위험은 적지만,
디젤 차량에 휘발유를 주입하는 사고는 종종 일어납니다
그런데 이게 시동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그 이유는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혼유 사고가 발생한다면 연료 탱크를 세척하는 수준에서 사고 수습이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엔 시동을 절대 켜지 마시고 보험사나 정비업체를 통해 견인하여 수습해야 합니다
하지만 시동이 켜져 있다면 그대로 차량 연료계통 부품에 연료가 유입되어 연료탱크, 고압펌프, 인젝터와 같은 연료계통 부품들을
모두 망가트릴 수 있습니다 한번 망가지면 400만 원 이상의 수리비를 각오해야 할 정도로 치명적인 실수입니다

환경오염
디젤 차량의 경우 주유 중 시동을 끄지 않아도 상단에서 말했던 위험물 안전 관리법 위반에 해당하진 않지만
공회전 제한 규정 위반에 해당하여 과태료를 물 수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서울시의 경우 2분을 초과하여 공회전을 할 시 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주유 시 시동만 끈다면 주유할 때 발생하는 차량의 공회전을 줄일 수 있어 이상화탄소 배출량 또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매우 작은 실천이지만 십시일반으로 모든 운전자들이 실천한다면 지구와 인간을 위협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또한 주유 시간에 시동을 끄면 약 80ml의 연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주유할 때 시동을 꼭 꺼야 하는 이유들을 알려드렸는데요
사소하지만 중요한 사항들을 알려드렸으니 주변 운전자들에게 널리 널리 퍼뜨려 주세요!

🧡잘 보셨다면 공감과 댓글 남겨주세요🧡
'자동차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W 7시리즈 순수 전기 세단 I7, 제원 주행거리 알아보자 (0) | 2022.05.04 |
---|---|
차량에 관련된 모든 오일(oil)에 대해 낱낱이 알아보자 (0) | 2022.04.29 |
현대 '더 뉴 팰리세이드' 첫 부분변경 모델 공개 (0) | 2022.04.15 |
타이어 측면에 붙어있는 빨강, 노란 점의 정체는 뭘까요? (0) | 2022.04.11 |
교통법규위반을 단속하는 암행순찰차 (0) | 2022.04.06 |